일묵재문집(一默齋文集)
권두에 김굉(金㙆)의 서문이 있고, 권말에 현손 상윤(相允)과 정주원(鄭胄源)·유심춘(柳尋春), 후손 찬규(瓚奎), 주손 호진의 발문이 있다. 성균관대학교 도서관·연세대학교 도서관·고려대학교 도서관·서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. 권1은 시 19수, 잡저 2편, 가장 2편, 권2·3은 부록으로 연보·언행록·묘갈명·행장 각 1편, 제문 9편, 만사 10수, 일묵재기·봉안문·상향축문·상량문·투증(投贈)·왕복서찰 등이 있다. 그리고 권말에 유묵(遺墨)·유서(遺書)가 첨부되어 있다. 그 가운데 잡저 두 편은 유서와 유계(遺誡)이다. 유서는 넉넉지 못한 재물로 인하여 형제간의 우애를 잃지 말라는 내용이고, 유계는 자식들이 부모의 명예, 학문의 방법, 효도하고 우애있게 지내는 법을 잘 생각하여 힘쓸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.